[그래픽뉴스] 기준금리 인상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가 연 1%대로 올라섰습니다.<br /><br />0%대 제로금리 시대가 1년 8개월 만에 막을 내린 건데요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 기준금리를 1%로 0.25%포인트 인상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월에 이은 두 번째 인상인데요.<br /><br />금통위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.5%포인트 낮추는 이른바 '빅컷'을 단행했었죠.<br /><br />이후 추가 인하를 거쳐 지난 7월까지는 아홉 차례 기준금리를 동결한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인상으로 그동안 경기 방어 차원에서 이뤄져 온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린 겁니다.<br /><br />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으로는 우선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가 꼽힙니다.<br /><br />보시는 것처럼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, 계속해서 오르는 추세죠.<br /><br />지난달에는 3%를 넘어서면서 9년여 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요.<br /><br />이를 2%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인 만큼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가계대출 증가, 집값 상승도 영향을 미쳤습니다.<br /><br />9월말 기준 우리나라 가계 빚 잔액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죠.<br /><br />최근 조사에서는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이 세게 37개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<br /><br />가계대출 억제 대책에도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액이 증가하자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든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에는 경기회복세가 뚜렷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오늘 한국은행은 올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.0%에서 낮추지 않고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수출 호조와 단계적 일상회복(위드 코로나)에 따른 소비 회복 등을 고려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아직 금리인상에 따른 경제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만큼 앞으로의 시장 상황, 잘 지켜봐야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